김포우리병원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히보기 ]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우리소식

저리고 아파요. 손목터널증후군
등록일 : 2019-06-27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구글+

저리고 아파요. 손목터널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은 상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최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 질환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인해 병원을 방문한 사람은 2007년에 약 9만5천여명이었던 것이 2016년에는 약 17만4천여명으로 무려 약 83%나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손목의 손바닥 쪽에는 팔에서 손으로 이어지는 힘줄 신경 등이 지나가고, 이들을 위에서 덮어주는 두꺼운 막 형태의 인대가 있습니다.

이를 가로 손목 인대라고 부르고, 이 인대와 주변의 조직에 둘려 쌓이게 되는 공간을 손목터널 혹은 수근관이라고 합니다.

이 수근관 안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손가락들의 감각 기능을 담당하는 정중 신경이 압박되면서 손목터널증후군 또는 수근관(수근굴)증후군이 라고 불리는 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정확한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30세에서 60세 사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특히 여자에게서 남자보다 5배 더 많이 발생합니다.

손목을 세게 구부리거나, 손목을 반복하게 사용하고 고정된 자세로 많은 시간을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부터 펜을 세게 쥐는 버릇이 있는 학생들까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 저림이지만, 자세하게 진찰해보면 손등, 손가락, 손바닥 등에 증상은 다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손을 많이 쓰는 직업일수록 증세가 심한 편이고 손의 힘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고 정중신경 분포범위에 이상감각이나 감각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손을 꽉지거나 사용할 때 증세가 악화됩니다.

일반적인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손 끝이 따끔하거나 화끈거리는 느낌과 통증 발생
· 엄지 손가락, 둘째 손가락, 셋째 손가락, 손바닥 감각이 둔해짐
· 운전 중 손이 저림
· 야간에 잠을 설칠 정도로 통증이 심함
· 아침에 손이 굳거나 경련 발생
· 섬세한 손의 움직임이 어려워짐
· 손에 쥐는 힘이 떨어져서 젓가락질 등이 힘들어짐
· 팔꿈치나 팔 전체, 어깨, 목 등으로 저리거나 통증 발생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여자 환자가 자다가 손에 타는듯한 통증과 무감각을 느껴 깨어났는데, 손을 움직이면 통증이가라앉는 증세가 반복되면 일단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일으키는 손저림 증상은 경추디스크 질환, 말초신경질환 등 다른 전신 질환으로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과거 병력에 대한 문진 및 신체검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후 신경 타진 검사, 수근 굴곡검사, 정중 신경 압박 검사를 기본적으로 진행하고, 필요에 따라 방사선 검사,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 등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보통 증세가 심하지 않다면, 손목이 무리하지 않게 휴식을 취해줌으로써 어느 정도 상태가 완화될 수 있고 손목 스트레칭이나 근력강화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상이 심하다면 소염제를 복용하게 하거나,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일시적으로 증세를 완화할 수는 있지만, 재발할 확률이 높습니다.

또, 위와 같은 치료를 진행했음에도 차도가 없거나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중 신경을 압박하는 가로 손목 인대를 잘라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민해봐야 합니다.

 

첨부파일 :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제증명 직통번호 031. 999. 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