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전증’이 코로나 백신 접종의 부작용? | ||
---|---|---|
등록일 : 2021-05-10 | ||
![]()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부작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AZ 백신을 접종한 뒤 혈전이 발생했다는 부작용이 대표적입니다. 백신 접종 후 혈전이 나타났음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 및 대처법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이 증상’ 나타났다면 혈전증 의심! 혈전은 혈관이나 심장에서 혈액이 응고하면서 생기는 응어리의 일종입니다.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멈추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혈액이 막히면 뇌졸중, 발작 등을 일으키고 심하면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코로나 백신의 한 종류인 AZ 백신을 접종한 후에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대체로 뇌에 있는 정맥에서 혈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혈전이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지속적이고 심한 두통 ▲국소 신경학적 증상 ▲발작 ▲ 흐릿한 시야, 복시, 시력 감퇴 ▲호흡곤란, 숨참 ▲흉통 또는 복통 ▲다리 부종, 사지 부종, 발적 ▲사지의 창백 또는 차가움 증상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 후 4일~28일 기간 동안 아래 증상이 나타났다면 지체하지 않고 병원에 방문할 것을 권장합니다. 보고 자료에 의하면, 혈전이 생긴 AZ 접종자의 대부분은 60대 미만 여성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대체로 백신 접종 후 2주 이내에 혈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심부정맥 혈전증’ 한편, 혈전증 중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은 심부정맥 혈전증입니다. 국내 1,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심부정맥 혈전증은 기본적으로 한국 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고혈압과 같이 만성질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도 혈전증 증가 추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혈전증은 발병 초기에는 증상이 미비해 방치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넘어갈 수 있으나, 제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혈전이 폐 혈관을 막는 폐동맥 색전증으로 발전할 우려가 큽니다. 피부가 붉거나 파랗게 변하기도 합니다. 40대 이상 중년 남성 혹은 임산부, 장기 입원환자에서 혈전증이 잘 발생합니다. 거동이 어려워 않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많은 만성질환자 또한 혈전증 발생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장합니다. ▶ 혈전증의 진단 및 치료 혈전증의 진단에는 초음파 검사와 CT, MRI 검사, 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등 영상검사가 이뤄집니다. 혈전을 확인하면 발생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혈액 검사와 영상 검사를 병행합니다. 혈전증의 치료에는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스텐트 삽입술 혹은 혈전 제거술이 시행됩니다. 수술적 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전 생성을 방지하는 항응고제와 섬유소용해제가 사용됩니다. 약물치료는 효과가 뛰어나지만 출혈 부작용 빈도가 높으므로 반드시 입원 치료를 통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일 경우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음에도 혈전증 발생 확률이 높은 편이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혈전증을 앓고 있다면 비타민K가 많이 함유된 녹색 채소, 간, 콩 등이 함유된 음식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첨부파일 : |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