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우리병원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히보기 ]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우리소식

‘땀의 계절’ 여름철 땀 냄새 개선 방법
등록일 : 2021-06-16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구글+

‘땀의 계절’ 여름철 땀 냄새 개선 방법

땀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여름철에는 더운 날씨로 인해 땀을 많이 흘려 불쾌지수가 높아지고 땀 냄새를 걱정하기 쉬운데요. 겨드랑이, 손, 발 등 다한증의 종류를 알아보고 땀이 분비되는 원인과 유독 심한 냄새가 나는 ‘땀 다한증과 액취층’ 개선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 땀, 왜 나는 건가요?

 

땀은 체온 조절을 위해 땀샘에서 배출되는 액체입니다. 사람의 신체에는 약 200~400만 개의 땀샘이 존재합니다. 발바닥에 땀샘이 가장 많고 등에 가장 적습니다. 땀샘의 종류로는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땀은 ‘에크린샘’에서 배출되는 땀입니다.

 

신체가 땀을 흘리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체온’입니다. 날씨가 덥거나 숨가쁜 운동을 할 때, 긴장하거나 매운 음식을 먹으면 체온이 올라가 땀이 납니다. 

체온의 상승은 에크린샘에서 땀의 분비를 증가시켜 피부표면의 열손실을 유도하고 이는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에크린샘의 분비율은 정신적이나 육체적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증가합니다. 

 

아포크린샘에서 나는 땀은 에크린샘에서 나는 땀보다 지방, 단백질과 같은 유기물이 많이 함유돼 있어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기 쉽습니다.

아포크린샘은 에크린샘보다 소수이며 액와부와 비뇨생식기부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사춘기에 활성화 되고 끈적끈적한 점액을 분비하며 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에 의해서 조절을 받습니다. 아포크린 땀샘에서 나오는 땀 자체는 무색무취로 세균에 의해 암모니아로 분해되면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액취증이라고 합니다.

 

땀 액취증은 땀 분비가 가장 많은 여름에 심하지만, 사람들이 병적인 증상으로 인식하는 것은 대개 겨울에 많습니다. 땀 분비가 적어야 하는 겨울임에도 땀으로 인해 냄새가 심한 것을 인지하기 쉬운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 손, 발, 겨드랑이 다한증의 종류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개선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우리 몸에는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의 두 종류의 땀샘이 있습니다. 에크린샘은 피부 전체에 분포되어 있어 손, 발, 이마에 많이 나타나며 아포크린샘은 에크린선보다 소수이며, 액와부와 비뇨생식기부위에 위치하고 있어 겨드랑이에 주로 많이 나타납니다. 

 

흔히 손이나 발에 땀이 많이 나면 ‘다한증’이라고 말하는데 경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1% 미만의 낮은 유병률을 보이기 때문에 간과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병원을 방문하는 다한증환자의 대부분은 과도한 땀의 분비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다한증은 단순히 땀이 많이 흐르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를 넘어 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다한증이란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땀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흘리는 질환을 말하는데 손이나 발바닥, 겨드랑이, 얼굴 등에 부분적으로 땀이 많이 나게 되는 국소다한증과 특정 질환으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 전신 다한증으로 분류됩니다.
 

다한증은 일차성 다한증과 내분비 질환, 감염 질환, 신경계 질환 등의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다한증으로 구분됩니다. 일차성 다한증은 주로 청장년층에서 나타나는데 간혹 청소년기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이차성 다한증은 연령과 무관하게 여러 내과적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합니다.

 

이차성 다한증의 경우는 선행 질환이 있을 때 발생하며 결핵이 있는 경우 밤에 땀을 많이 흘리게 되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당뇨 같은 내분비 질환이 있을 때도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땀 냄새’ 다한증과 액취증 개선 방법은?

 

땀 다한증 및 액취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구분됩니다. 비수술적 치료법에는 약물치료, 보톡스 주사법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법은 흉강 내에 있는 교감신경을 차단하거나 절제하는 방법을 통해 땀의 분비를 억제하여 다한증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미세 흉강 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차단 절제술은 감염의 위험성이 적고 수술 후 회복이 빠르며 상처가 거의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른 수술적 치료법으로는 지방흡입기를 이용한 액취증 & 다한증 수술입니다.

피부의 제거 없이 지방흡입술만을 이용하여 피하지방층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액와부위에 작은 절개창을 만든 후 초음파가 나오는 특수기구를 피부 밑으로 삽입하여 아포크린샘을 제거하는 시술로 시술소요시간이 약 30분 정도로 짧습니다. 수술적 치료법은 비수술적 치료법에 비해 효과가 영구적이고 안전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한증 및 액취증 시술 및 치료는 병원에서 상담을 통해 진행됩니다.
 

첨부파일 :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제증명 직통번호 031. 999. 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