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우리병원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히보기 ]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우리소식

‘삼킴 곤란’발생했을 때… 어떤 치료 필요할까?
등록일 : 2021-09-14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구글+

‘삼킴 곤란’발생했을 때…  어떤 치료 필요할까?

구강을 통해 음식을 섭취한다는 것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단순한 의미에 그치지 않고 정신적·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즐거움을 주는 중요한 생활의 일부분입니다. 

 

따라서 음식을 삼키는 것이 곤란하다면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은데요. 음식을 삼키는 것이 곤란할 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뇌졸중 이후 삼킴 곤란 주의

 

삼킴 과정은 음식물을 인식하고 입안으로 가져간 후 구강으로부터 위까지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데요. 아주 짧은 시간에 이뤄지는 단순한 행위라 생각할 수 있지만, 뇌신경 12개 중 6개가 사용되고 50여 개의 쌍으로 된 근육들이 정교하게 조절돼 일어나는 움직임입니다. 이 삼킴 과정은 크게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로 구분됩니다.
 

구강기는 음식물을 치아, 혀, 침을 이용해 잘게 부수어 뒤로 옮기는 과정을 말하며, 인두기는 삼킴 반사가 일어나는 중요한 곳으로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게 몸의 중요한 보호 작용들이 일어나서 음식물을 식도로 운반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식도기는 인두기에서 삼킴 반사로 상부 식도 괄약근을 통과한 음식물이 하부 식도 괄약근을 통과해 위로 이동하는 과정에 해당합니다.
 

삼킴 과정에는 뇌신경이 관여하기 때문에 과거 뇌신경계 질환인 뇌졸중을 앓았다면 그 후유증으로 삼킴 곤란이 흔히 발생합니다. 그런데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곤란의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뇌졸중 발병 후 숨진 사람의 3분의 1이 삼킴 곤란에 의한 영양실조와 흡인성 폐렴이 그 원인이 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뇌졸중 발병 후 삼킴 곤란이 발생한다면 지체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삼킴 곤란 진단 방법은?

 

음식물을 삼키는 것이 어려워 진단 받게 될 경우, 먼저 삼킴(연하)장애 평가를 진행합니다. 이 평가에서 삼킴 후에 목소리 변화, 목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것 같은 이물감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데요. 삼킴장애 평가와 더불어 뇌신경검사, 저작근의 근력 및 혀의 움직임, 구역 반사, 호흡기능 등 신체검사 및 설골 촉진검사, 물을 이용한 선별검사 등도 진행합니다.   
 

삼킴장애 진단방법 중 하나인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는 조영제가 포함된 실제 음식물을 환자에게 삼키게 하고 여러 방향에서 투시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음식물이 기도로 흡인 되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데요. 환자의 해부학적, 기능적 문제를 진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에 대해 검사를 시행해 개개인에게 적합한 식이나 자세, 연하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삼킴 곤란이 진단되면?

 

검사를 통해 삼킴 곤란이 진단되면 적절한 식이 처방 및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식이 처방은 구강위생 및 치아관리, 충분한 영양공급 및 수분공급을 염두에 두고 처방하게 되는데요. 삼킴 곤란이 심한 경우, 식이 방법으로 비위관을 삽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코에서 위까지 약 60~70cm 길이의 비위관을 삽입해 식이를 돕는 방법입니다. 반대로 삼킴 곤란이 있긴 하나 입으로 먹을 수 있는 환자인 경우, 연하 보조식이를 처방하는데요. 식이 점도와 텍스처 정도를 조절해 처방합니다. 
 

또한, 삼킴 곤란에 대한 재활치료로는 연하 근육을 자극하는 전기 자극법, 성대 내전운동, 호흡근 강화운동 등을 진행합니다.
 

첨부파일 :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제증명 직통번호 031. 999. 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