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우리병원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히보기 ]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우리소식

입안이 아프면, 수족구병 의심!
등록일 : 2019-07-15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구글+

입안이 아프면, 수족구병 의심!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고, 어릴 때부터 보육 시설에 맡기는 아이들도 많습니다.


이런 상황은 감염에 의한 질환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데요.

 

그런 감염 질환 중에서도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손과 발 그리고 입에 물집이 생기는 수족구병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아이들을 키우는 집이라면 특히 신경을 많이 쓰는 질환인 수족구병은 요즘같이 기온이 오르게 되면 기승을 부리며 유행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 수족구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말 그대로 입, 손, 발에 물집이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원인이 되는 장바이러스는 크게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그 외 장바이러스로 구분되고, 이 중에서 수족구병은 대부분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콕사키바이스러스는 알코올에도 소독되지 않고, 50도 이하의 온도나, 냉장고 내 온도에서는 생존이 가능할 정도로 일상 온도에 강한 장바이러스입니다.

 

보통 수족구병에 걸리게 되면, 나타나는 증상이 특징이 있기 때문에 맨눈으로 확인이 가능해 바로 대응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물집이 적게 생기거나 물집 대신 발진이 생길 때는 수족구병인지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유행하는 질환으로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도에는 4월경부터 발병하여 유행이 시작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수족구병은 대부분 알게 모르게 감염이 되면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의 변이 손 또는 일상에서 쓰는 생활도구 등에 묻으면서 입으로 들어오는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통해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또는 침이 입으로 들어오는 경우,


입이나 피부에 생긴 물집의 진물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수족구병은 위와 같은 경로로 감염되는데, 여기서 환자의 변은 바이러스 감염 이후 수주에서 수개월까지 바이러스가 들어있을 수 있고, 호흡기 분비물은 약 1~3주 정도까지 감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가정, 어린이집 같은 보육시설, 놀이터, 여름 방학 캠프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주로 감염되는 편입니다.

 

장바이러스는 입으로 들어온 뒤 목구멍 또는 장의 점막 아래 조직에서 증식하게 됩니다.

 

이 증식된 바이러스는 약 3~10일 정도의 잠복기 이후에 우리 몸 안에 표적이 되는 기관에 따라 질환은 달라집니다.

 

뇌 : 뇌염, 뇌수막염
피부 : 수족구병
근육 : 심근염, 심근주의염



·수족구병의 증상과 치료


주로 손등과 발등 부위에 약 3~7mm 크기의 피부 발진이 나타나며, 발보다는 손에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손과 발은 물론 몸, 사타구니, 엉덩이 등 넓은 범위에 물집보다는 발진의 형태로 나타나고, 손과 발에는 증상이 없으나 입안에 물집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발진이었다가 차차 물집으로 변하게 되고 큰 문제가 없으면 별다른 치료가 없어도 1주일 정도면 자연스럽게 없어집니다. 

 

또, 헤르판지나, 바이러스에 의한 잇몸 구내염 등 입 주위나 입 안쪽에 물집, 궤양이 발생하는 병과 외관상 구분이 어려울 수도 있어 구분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수족구병은 현재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은 없고, 입안 궤양으로 인한 통증으로 생긴 탈수 증상이 있다면 수분 공급을 위해 수액을 맞거나 발열이 심하면 해열제를 통해 체온을 낮추는 등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를 치료만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직 수족구병의 원인인 장바이러스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위생 관리뿐만 아니라, 장난감 또는 생활 도구 등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생활 속 예방 습관이 중요합니다.

 

또, 수족구병은 감기 환자와 만나는 사람마다 감기에 걸리는 것이 아닌 것처럼 해당 바이러스 한두 개체로 인해 무조건 걸리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혹시 모를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회복되기 전에는 스스로 단체 생활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첨부파일 :

간편상담예약

상담전화가 2회 이상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예약 의뢰가 자동 취소되오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표전화 1551-7575(치료치료)
031-999-1000
응급의료센터 031. 999. 1119
제증명 직통번호 031. 999. 1312